파사 이사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사 이사금은 신라의 제5대 왕으로, 박씨 성을 가졌으며 유리 이사금의 아들이거나 유리 이사금의 동생의 아들로 추정된다. 80년에 탈해 이사금의 뒤를 이어 즉위했으며, 그의 이름 '파사'는 '진실이 나타난다'는 의미의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재위 기간 동안 민생 안정, 농업 장려, 군비 확충 등 체제 정비에 힘썼으며, 백제, 가야 등 주변 국가와의 관계 속에서 영토를 확장했다. 112년에 사망했으며, 아들 지마 이사금이 신라의 다음 왕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2년 사망 - 울피아 마르키아나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의 누이인 울피아 마르키아나는 황제의 여동생으로서 처음으로 '아우구스타' 칭호를 받았으며, 트라야누스와 폼페이아 플로티나와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며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존경받아 사후에는 신격화되었다. - 112년 사망 - 성 푸블리오
성 푸블리오는 사도 바울을 환대한 몰타의 주요 인물로 초기 기독교 전파에 기여했으며 플로리아나의 수호성인으로 존경받지만, 역사적 실존에 대한 논쟁과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 이사금 - 벌휴 이사금
벌휴 이사금은 신라의 제9대 이사금으로, 아달라 이사금 사후 추대되어 왕위에 올랐으며 활발한 정복 활동과 백제와의 교전, 군주 제도 마련 등의 업적을 남겼고, 그의 후손들은 신라 왕위를 이었다. - 이사금 - 아달라 이사금
아달라 이사금은 신라의 제8대 왕이자 박씨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계립령과 죽령을 개통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백제와 긴장 관계를 유지했으며 왜와 평화로운 외교 관계를 맺었고, 연오랑 세오녀 설화와 왕위 계승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 2세기 한국의 군주 - 기루왕
기루왕은 백제의 제5대 국왕으로, 다루왕 사후 즉위하여 신라를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신라와 평화 조약을 맺었으며 말갈의 침입 시 신라의 지원을 받았고 자연재해가 빈번했다. - 2세기 한국의 군주 - 수로왕
김수로왕은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시조이자 초대 왕으로, 42년에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 알에서 태어나 가락국을 건국하고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을 왕비로 맞이하여 가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능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고 김해 김씨의 시조로 받들어지고 있다.
파사 이사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이사금 |
재위 기간 | 80년 – 112년 |
즉위 | 80년 |
선대 왕 | 탈해 이사금 |
후대 왕 | 지마 이사금 |
아버지 | 유리 이사금 |
어머니 | 김 왕후 |
사망일 | 112년 |
사망 장소 | 신라 |
추증 시호 | 파사 이사금 (婆娑尼師今) |
한국어 이름 | |
로마자 표기 | Pasa Isageum |
한글 | 파사 이사금 |
한자 | 婆娑尼師今 |
신라 군주 | |
선대 군주 | 탈해 이사금 |
후대 군주 | 지마 이사금 |
개인 정보 | |
성 | 박 |
이름 | 파사 (婆娑), 검(儉), 검(檢) |
배우자 | 사성부인 김씨 |
자녀 | 지마 이사금 |
가문 | 밀양 박씨 |
2. 생애
80년 8월, 탈해 이사금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1][2] 왕비는 허루갈문왕(許婁葛文王)의 딸인 김씨 사성부인(史省夫人)이다.[1][2] 파사(婆娑)는 산스크리트어로 '진실이 나타난다'는 의미를 가지지만, 불교가 신라에 전래되기 훨씬 전의 인물이므로, 한자의 의미는 나중에 덧붙여졌을 가능성이 높다. 파사(婆娑)는 발음을 위해 한자를 차용한 것이다.[1][2]
81년 봄 음력 2월, 파사 이사금은 직접 시조묘에 제사를 지냈다. 같은 해 음력 3월에는 주와 군을 돌며 백성을 위로하고 창고를 열어 구휼하였으며, 교수형이나 참수형이 아닌 죄수들은 모두 용서하였다. 82년 봄 음력 1월에는 농사와 누에치기를 장려하고 병기를 정비하여 재난과 변방의 위협에 대비하라는 명령을 내렸다.[9]
84년 봄 음력 2월, 명선을 이찬으로, 윤량을 파진찬으로 임명하였다.[9] 같은 해 여름 음력 5월, 고타군(지금의 안동 지역)주가 푸른 소를 바치고 남신현(경주 남쪽 지역으로 추정)에서는 보리줄기가 가지를 쳤다. 크게 풍년이 들어 여행객들이 양식을 지니지 않아도 될 정도였다. 고타군은 당시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기에 파사 이사금 시기에 사로국에 편입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고타군의 반독자적인 권력이 사로국 중심의 진한연맹에 특산물 등을 바치며 충성을 서약하거나 동맹을 유지했다는 상징성을 가진다.[9]
90년 음력 7월, 10명의 사자를 파견하여 주와 군주를 감찰하고, 공무에 힘쓰지 않거나 밭을 황폐하게 한 자들을 강등시키거나 파면하였다. 93년 정월에는 윤량을 이찬으로, 계기를 파진찬으로 임명하였다. 음력 2월에는 고소부리군을 순행하여 나이 많은 사람들을 위문하고 곡식을 내려 주었다.
94년, 가야군이 마두성을 포위하자 아찬 길원에게 기병 1천 기를 보내 쫓아냈다.[9] 96년 음력 9월, 가야군이 다시 침입했을 때 파사 이사금이 직접 5천 기를 이끌고 나가 크게 이겼다. 97년 정월, 가야를 공격하려 했으나 가야 왕이 사신을 보내 사죄하여 용서했다.[9]
102년 음력 8월, 음즙벌국과 실직곡국 사이의 영토 분쟁 해결을 요청받고 금관가야의 수로왕에게 판결을 맡겼다. 수로왕은 땅을 음즙벌국에 귀속시켰다. 파사 이사금은 진한 6부에 수로왕을 위한 연회를 베풀도록 하였는데, 한기부가 하급 관리를 보내 수로왕이 분노하여 종을 시켜 한기부주 보제를 죽이게 했다. 보제를 죽인 종은 음즙벌 왕의 집에 숨었고, 파사 이사금이 분노하여 음즙벌국을 공격하자 왕이 항복하고, 실직, 압독의 두 왕도 항복하였다.[9]
104년 음력 7월에는 실직국이 반란을 일으켜 토벌하고, 그 유민을 남부로 이주하게 했다.[9] 105년에 백제의 기루왕은 신라에게 화친을 청해왔다.[9] 108년에는 남쪽으로 비지(현재의 합천군), 다벌(현재의 포항시), 초팔(현재의 창원시)을 병합했다.[9]
112년 10월에 서거하였다.
2. 1. 혈통 및 즉위 과정
성은 박씨이며 유리 이사금의 둘째 아들이거나 유리 이사금의 동생인 나로(柰老)의 아들로 추정된다. 삼국사기에는 그가 일성 이사금의 동생이라는 설과 함께 파사 이사금이 적자가 아니라는 대목이 같이 등장한다.[1][2]왕비는 허루갈문왕(許婁葛文王)의 딸인 김씨 사성부인(史省夫人)이다. 본래 유리왕의 맏아들 일성(逸聖)이 즉위하게 되어 있었으나, 삼국사기에 따르면 "어떤 이가 말하기를 '일성이 비록 적자이기는 하지만 위엄과 총명이 파사에 미치지 못한다'라고 하여, 마침내 파사를 왕위에 오르게 하였다"라 해, 파사와 일성 사이에 후계자 자리를 놓고 투쟁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서기 80년 8월에 탈해 이사금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1][2]
파사 이사금의 파사(婆娑)는 불교식 이름으로, 산스크리트어로 '진실이 나타난다'는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불교가 신라에 전래되기 훨씬 전의 인물이므로, 한자의 의미는 나중에 덧붙여졌을 가능성이 높다. 파사(婆娑)는 발음을 위해 한자를 차용한 것이다. 일본서기의 진구 황후 편에는 파사(波沙)로 다르게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한자의 의미보다는 발음을 중시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본 역사가가 실성 마립간과 혼동했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는 초기 신라 역사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1][2]
2. 2. 내치
81년 봄 음력 2월, 파사 이사금은 직접 시조묘에 제사를 지냈다. 같은 해 음력 3월에는 주와 군을 돌며 백성을 위로하고 창고를 열어 구휼하였으며, 교수형이나 참수형이 아닌 죄수들은 모두 용서하였다. 82년 봄 음력 1월에는 농사와 누에치기를 장려하고 병기를 정비하여 재난과 변방의 위협에 대비하라는 명령을 내렸다.[9]84년 봄 음력 2월, 명선을 이찬으로, 윤량을 파진찬으로 임명하였다. 이는 법흥왕 시기에 완성된 신라 17관등 체계 이전에도 이찬, 파진찬 등의 관직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9]
같은 해 여름 음력 5월, 고타군주가 푸른 소를 바치고 남신현에서는 보리줄기가 가지를 쳤다. 크게 풍년이 들어 여행객들이 양식을 지니지 않아도 될 정도였다. 고타군은 지금의 안동 지역으로, 당시에는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기에 파사 이사금 시기에 사로국에 편입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고타군의 반독자적인 권력이 사로국 중심의 진한연맹에 특산물 등을 바치며 충성을 서약하거나 동맹을 유지했다는 상징성을 가진다. 남신현은 경주 남쪽 지역으로 추정된다. 고타군주가 바친 청우는 튼튼하게 잘 자란 소를 의미하며, 농업생산력이 중요했던 당시에 우수한 종자를 배포하여 권력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이용했다는 해석도 있다.[9]
90년 음력 7월, 10명의 사자를 파견하여 주주와 군주를 감찰하고, 공무에 힘쓰지 않거나 밭을 황폐하게 한 자들을 강등시키거나 파면하였다. 93년 정월에는 윤량을 이찬으로, 계기를 파진찬으로 임명하였다. 음력 2월에는 고소부리군을 순행하여 나이 많은 사람들을 위문하고 곡식을 내려 주었다.
102년 음력 8월, 음즙벌국과 실직곡국 사이의 영토 분쟁 해결을 요청받고 금관가야의 수로왕에게 판결을 맡겼다. 수로왕은 땅을 음즙벌국에 귀속시켰다. 파사 이사금은 진한 6부에 수로왕을 위한 연회를 베풀도록 하였는데, 한기부가 하급 관리를 보내 수로왕이 분노하여 종을 시켜 한기부주 보제를 죽이게 했다. 보제를 죽인 종은 음즙벌 왕의 집에 숨었고, 파사 이사금이 분노하여 음즙벌국을 공격하자 왕이 항복하고, 실직, 압독의 두 왕도 항복하였다.
2. 3. 대외 관계 및 영토 확장
81년 음력 3월, 파사 이사금은 주와 군을 돌며 백성을 위무하고 창고를 열어 구휼하는 등 민생 안정에 힘썼다. 또한, 82년에는 농업과 양잠을 장려하고 군비를 강화하는 명령을 내려 국가 기틀을 다졌다.[9]85년, 백제가 변경을 침입했으나 곧 격퇴되었다.[9] 87년 음력 7월에는 가소성과 마두성을 쌓았다. 마두성은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일대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당시 거창군은 가야의 영역이었기 때문에, 마두성 축조 시기는 파사 이사금 시기보다 후대이거나, 경주 인근의 작은 성으로 해석되기도 한다.[9]
94년, 가야군이 마두성을 포위하자 아찬 길원에게 기병 1천 기를 보내 쫓아냈다.[9] 96년 음력 9월, 가야군이 다시 침입했을 때 파사 이사금이 직접 5천 기를 이끌고 나가 크게 이겼다. 97년 정월, 가야를 공격하려 했으나 가야 왕이 사신을 보내 사죄하여 용서했다.[9]
102년 음력 8월, 음즙벌국과 실직곡국 사이의 영토 분쟁 해결 요청을 받고 금관가야의 수로왕에게 판결을 맡겼다. 수로왕은 땅을 음즙벌국에 귀속시켰다. 파사 이사금은 진한 6부에 명해 수로왕을 위한 연회를 열게 했는데, 한기부가 하급 관리를 보내 수로왕이 분노하여 종을 시켜 한기부주 보제를 죽이게 했다. 보제를 죽인 종은 음즙벌 왕에게 숨었고, 파사 이사금이 분노하여 음즙벌국을 공격하자 항복했다. 이어서 실직, 압독 두 왕도 항복했다.[9]
104년 음력 7월에는 실직국이 반란을 일으켜 토벌하고, 그 유민을 남부로 이주하게 했다.[9] 105년에 백제의 기루왕은 신라에게 화친을 청해왔다.[9] 108년에는 남쪽으로 비지(현재의 합천군), 다벌(현재의 포항시), 초팔(현재의 창원시)을 병합했다.[9]
2. 4. 최후
104년 음력 7월 실직이 배반하여 토벌하고 그 무리를 남쪽으로 옮겼다. 105년 백제와 화친했고, 106년 음력 8월 마두성주에 명해 가야를 치게 하였다. 108년 비지국, 다벌국, 초팔국을 쳐 병합했다. 112년 10월에 서거하였다.3. 가계
항목 | 내용 |
---|---|
부왕 | 유리 이사금 |
모친 | 사요왕(辭要王)의 딸 차비 김씨(次妃 金氏) |
형 | 일성 이사금 |
왕후 | 허루 갈문왕의 딸 사성부인 김씨 |
아들 | 지마 이사금 |
손녀 | 아달라 이사금의 왕비 내례부인 박씨 |
손자 | 아도 갈문왕 |
4. 자연재해
93년 음력 10월에 지진이 일어났다.
96년 음력 7월에 폭풍이 일어났다.
98년 음력 4월에 가뭄이 들었다.
100년 음력 7월에 우박이 내려 날아다니던 새가 죽었고, 음력 10월에 서울(경주)에 지진이 일어나 민가가 쓰러지고 죽은 사람이 있었다.
104년 음력 1월에 뭇 별들의 운석이 비오듯이 떨어졌으나 땅에까지는 이르지 않았다.
105년 음력 2월에 3자의 눈이 왔다.
5. 기타
일본서기 신공황후 섭정전기에는 파사 이사금과 관련된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이와나미 문고판 일본서기에 따르면, '파사(波沙)'는 파사 이사금을, '이사금(尼師今)'은 왕을 뜻하는 말이므로, '파사(波沙)'와 '파사(婆娑)'는 같은 사람이라고 한다.[5]
5. 1. 파사매금과의 관련성
『일본서기』 권9・신공황후 섭정전기에는 신라왕 파사매금(波沙寐錦)과의 관련성도 지적되고 있다.[5] 이와나미 문고판 『일본서기』에 따르면, "파사(波沙)"는 파사 이사금을 뜻하며, "이사금(尼師今)"은 왕호이므로 "파사(波沙)"와 "파사(婆娑)"는 동일한 인물이라고 한다.[5]참조
[1]
서적
三國史記 卷第一 新羅本紀 第一 婆娑 尼師今 元年 9月 婆娑尼師今立. 儒理王第二子也 妃金氏史省夫人, 許婁葛文王之女也. 初脫解薨, 臣僚欲立儒理太子逸聖, 或謂"逸聖雖嫡嗣, 而威明不及婆娑." 遂立之. 婆娑節儉省用而愛民, 國人嘉之.
[2]
문서
Some revisionists(related to the North Korean academic community) claim that he was son of Talhae of Silla, and a woman from Persia. But The basis of this argument is weak.
[3]
뉴스
Excavation sheds light on Silla's royal palaces
https://en.yna.co.kr[...]
2024-03-26
[4]
서적
井上2004
[5]
서적
岩波文庫「日本書紀」(二),151頁注釈,(1994年、2001年第八版)
[6]
서적
李成市 『東アジア文化圏の形成』 山川出版社〈世界史リブレット 7〉、2000年
[7]
서적
李成市『東アジア文化圏の形成』、山川出版社<世界史リブレット17>、2000年。『朝鮮史』 武田幸男編、山川出版社<新版世界各国史2>、2000。および[http://www.gakushuin.ac.jp/univ/rioc/pong/index.htm 学習院大学東洋文化研究所 Web版『学東叢刊3 蔚珍鳳坪碑』]参照
[8]
서적
『[[三国史記]]』新羅本紀
[9]
웹인용
KBS 라디오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 <제150편> 파사이사금, 소국병합에 나서다
http://www.kbs.co.kr[...]
2016-12-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